커뮤니티

진료시간안내

CONSULTATION HOUR

  • 월수금 09:00 ~ 20:00
  • 화목 09:00 ~ 18:00
  • 토요일 09:00 ~ 13:00
  • 점심시간 13:00 ~ 14:30

월,수,금 평일 야간진료 실시 **예약방법 : 네이버 또는 똑닥앱 검색창에 삼성항외과 검색후 예약해주시기 바랍니다**

전화상담문의

  • 02-2043-7175
  • FAX. 02-2043-7178

칼럼

  • 커뮤니티
  • 칼럼

제목

치맥 즐기다 '통풍' 온다?… 통풍 예방 생활 수칙 5

image

바람만 스쳐도 아플 정도로 극심한 통증을 유발하는 통풍. 상상을 초월하는 고통 때문에 '질병의 왕'이라고도 불린다. 특히 야외 활동이 잦아지는 봄철이면 소리 없이 다가와 관절 건강을 위협한다.

중년 남성의 적, 통풍 주의보
통풍은 체내에 축적된 요산이 관절의 연골, 힘줄, 주위 조직에 침착되어 염증과 극심한 통증을 유발하는 질환이다. 과거 술과 고기를 즐기던 상류층에게 주로 발병해 '귀족병'으로 불렸지만, 현대에는 누구에게나 나타날 수 있는 흔한 질환이 되었다.

통풍은 특히 40~50대 중년층에서 발병 확률이 높고, 전체 환자의 90% 이상이 남성일 정도로 성별 차이가 뚜렷하다. 이는 남성이 여성보다 체내 요산 수치가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이다. 여성의 경우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이 요산 배출을 촉진하는 역할을 해, 같은 식습관이나 체질이라도 남성보다 혈중 요산 농도가 낮게 유지되는 편이다. 다만, 여성도 폐경 이후에는 에스트로겐 분비가 줄어들면서 이러한 보호 효과가 사라지고, 그에 따라 통풍 발병 위험도 급격히 증가하게 된다.

발끝을 찌르는 통증, 원인은 과다하게 축적된 요산
통풍의 주범인 요산은 음식물이나 세포 내에 존재하는 단백질 '퓨린(purine)'이 분해될 때 생성된다. 평소 요산은 대부분 신장을 통해 소변으로 배출되지만, 요산이 과도하게 만들어지거나 배출 기능에 문제가 생기면 혈중 요산 농도가 높아지는 '고요산혈증' 상태가 된다. 고요산혈증이 지속되면 요산이 결정 형태로 변해 관절에 침착되고, 급성통풍으로 악화될 수 있다.

통풍의 가장 흔한 초기 증상은 엄지발가락 관절의 급성통증과 부기다. 한양대학교병원 류마티스내과 최찬범 교수는 "통풍은 주로 다리 관절에서 시작되며, 특히 밤에 증상이 심해지는 경우가 많다"라며 "관절이 뜨겁고 붉게 변하면서 심하게 붓고, 극심한 통증이 동반된다"라고 설명했다. 발등, 발목, 무릎, 손가락, 팔꿈치 등 다양한 관절에서 증상이 나타나며, 증상이 반복되면 만성관절염으로 진행된다.

무증상부터 만성관절염까지, 단계별 진행 양상
통풍은 일반적으로 네 단계를 거쳐 진행된다. 처음에는 혈중 요산 수치만 높고 특별한 증상이 없는 '무증상 고요산혈증' 단계가 나타나고, 이후 관절에 요산 결정이 쌓이면서 극심한 통증을 유발하는 '급성 발작기'로 이어진다. 통증이 가라앉은 뒤에는 증상이 없는 '간헐기'가 반복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발작 간격이 짧아지고 통증의 강도는 심해지는 경향을 보인다. 이 상태를 장기간 방치하면 관절 주변에 요산 덩어리인 통풍결절이 형성되고, 관절이 손상되거나 변형되는 '만성통풍성관절염' 단계로 악화된다.

최찬범 교수는 "통풍을 방치하면 시간이 지날수록 관절 손상과 통증이 지속돼 일상생활에 큰 불편을 초래한다"라며 "혈중 요산 농도가 높을수록 콩팥 손상이나 심혈관계질환의 위험이 증가하기 때문에 초기에 적극적인 치료와 관리가 필요하다"라고 강조했다.

봄철에 특히 조심해야 하는 이유
날씨가 따뜻해지는 봄철에는 더욱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야외 활동이 늘면서 치킨, 삼겹살, 맥주 등 퓨린 함량이 높은 음식과 알코올 섭취가 증가하기 때문이다. 특히 술은 요산의 체내 생성을 촉진하고 배출을 방해해 통풍의 위험을 높인다.

평소보다 늘어난 활동량도 통풍 발작을 유발한다. 최찬범 교수는 "봄이나 여름에 야외 활동을 하면서 땀을 많이 흘리면 체내 수분이 부족해지고 소변으로 배출돼야 할 요산이 몸에 남아 고요산혈증을 악화시킬 수 있다"라고 설명했다. 또 등산, 마라톤, 장거리 걷기 등으로 관절에 반복적인 압력이 가해지면 관절 내에 쌓인 요산 결정이 자극을 받아 염증과 통증이 유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다음은 최 교수가 전하는 통풍 예방을 위한 5가지 생활 수칙이다.